티스토리 뷰
– 외식업 사장님이 반드시 알아야 할 법의 기준선
식당을 차리고 어느 정도 자리를 잡다 보면
자연스럽게 직원이 하나둘 늘어납니다.
처음에는 가족과 둘이 하다가,
주방 도와줄 사람, 홀 서빙할 사람, 배달 인력까지…
어느새 직원이 5명을 넘어서는 순간이 오죠.
그런데 많은 사장님들이 이때부터
사업 자체의 '법적 성격'이 바뀐다는 사실을 모르고 넘어갑니다.
직원 수 5인, 숫자 하나 늘어났을 뿐인데
그 시점부터는 근로기준법, 중대재해처벌법, 주52시간제 등
적용되는 법과 규제가 확 달라집니다.
“설마 우리 같은 작은 식당도?”
“직원 5명인데 뭐 얼마나 복잡하겠어…”
그렇게 생각하다가 뒤늦게 과태료나 민원, 심지어 형사 책임까지 마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
‘직원 수 5명’이 넘어서는 순간부터 외식업 사장이 반드시 알아야 할 법적 기준과 의무사항을
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.
1.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
- 상시 5인 이상 사업장은 근로기준법이 완전히 적용됩니다.
- 임금, 근로시간, 휴게, 연차, 해고 예고, 퇴직금 등 기본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blog.naver.com+6hotelrestaurant.co.kr+6nodong.kr+6.
- 5인 미만 사업장은 일부 조항(휴일·퇴직금 등)이 예외일 수 있으나, 5인 이상이면 모든 조항이 적용됩니다.
– 직원 5명부터는 ‘법의 무게’가 달라집니다.
식당에서 직원이 5명을 넘는 순간,
가게 운영은 단순한 장사에서 ‘법적인 책임이 따르는 사업’으로 전환됩니다.
그 이유는 바로 근로기준법이 전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.
많은 자영업 사장님들이
“우린 작은 가게니까”, “직원 복지야 서로 융통성 있게 하면 되지”라고 생각하지만,
5인 이상 사업장이 되는 순간부터는
‘배려’가 아닌 법적 의무로 바뀝니다.
▶ 어떤 점이 다를까요?
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
근로기준법 중 일부 조항만 적용되기 때문에
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부분이 있습니다.
하지만 5인 이상부터는
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모두 의무화됩니다:
-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직원에 대한 연차휴가 부여 의무
- 1년 이상 근무 시 퇴직금 지급
- 해고 예고 및 정당한 사유 없는 해고 금지
-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명확한 구분
-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
- 연장・야간・휴일 근로 시 수당 지급
이러한 기준을 어길 경우,
과태료는 물론 형사처벌까지 연결될 수 있는 사안입니다.
▶ 현실적인 문제는 ‘모르고 넘어가는 경우’
실제로 자영업자 중 상당수는
이 기준을 정확히 알지 못한 채
그냥 ‘전에 하던 방식대로’ 운영합니다.
그러다 직원이 퇴사하거나,
노동청에 진정이 들어가는 순간
뒤늦게 법 위반 사실을 깨닫고 큰 타격을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.
“퇴직금 줄 줄 몰랐어요”
“그냥 말로 계약했는데요”
“주휴수당이 그렇게 큰 줄 몰랐어요”
이런 말이 법 앞에서는 소용없습니다.
직원이 5명 이상이면, 사장도 더 이상 ‘초보’가 아니게 되는 셈입니다.
항목 | 5인 미만 | 5인 이상 |
중대재해 처벌법 | 미적용 (개인사업자의 경우) |
의무 적용 |
주 52시간제 | 의무 없음 | 의무 적용 |
4대 보험 | 의무 사항(아르바이트 포함) | |
연차휴가 | 지급의무 없음 | 의무 적용 |
퇴직금 | 의무 사항 | |
해고 제한 | 자유롭게 해고 (30일전 통보 의무) |
합당한 사유시만 가능 (30일전 통보 의무) |
연장・야간・휴일 수당 | 가산 임금(수당) 지급의무 없음 | 의무 지급 |
근로계약서 | 의무 + 임금명세서 제공 필수 |
2. 주52시간제 및 초과근로 수당
- 최대 주 52시간 근무 제한 (기본 40시간 + 연장 12시간)이 적용됩니다 youtube.com+2blog.naver.com+2donga.com+2.
- 연장·야간·휴일 근무 시 가산 수당 지급이 의무입니다 (통상 임금의 50%~200% 가산) biposervice.com+3hotelrestaurant.co.kr+3blog.naver.com+3.
3. 중대재해처벌법 적용
- 2024년 1월부터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(식당 포함)도 중대재해처벌법 대상이 되었습니다 nodong.kr+7donga.com+7mk.co.kr+7.
- 사망·중상 사고 발생 시,
안전조치 의무 위반 책임이 있는 사업주·경영책임자는 징역 또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. - 따라서 위험 요소 확인, 점검, 대응 절차 등을 문서화하고 실행해야 합니다.
'식당카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저녁 손님을 잡아야 식당이 산다 (8) | 2025.06.17 |
---|---|
주방 동선 설계의 중요성 (1) | 2025.06.10 |
줄 세우는 식당 vs 줄서는 식당 (3) | 2025.06.09 |
2026년 최저임금 예측 (7) | 2025.06.08 |
식당 마감, 그 조용한 전쟁의 시작 (2) | 2025.05.31 |